최근에 스툴이 포함된 4인용 소파를 알아보면서 익히 알고 있던 정보와 새롭게 알게 된 정보를 다른 분들의 소파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해서 공유하고자 함.
1. 소파의 종류
소재별
① 일반 패브릭
기존 원단을 활용하여 제작한 소파로 다양한 패턴을 가진 제품을 만들 수 있어 주로 화려한 장식의 원목 프레임 제품에 많이 적용되어왔으나 항균성이나 오염에 취약하며 반려동물의 발톱에 의한 손상에는 취약함.
② 기능성 패브릭
최근에는 반려동물을 많이 기르는 등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가죽과 일반 패브릭 소재의 한계를 극복한 다양한 기능성 패브릭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코오롱에서 개발한 샤무드를 비롯하여 아쿠아릭, 사하라, 스위브 등 다양한 이름들로 인해 혼란스러울 수 있으나 그 특성을 요약하면 촉감도 좋고 방수, 항스크레치, 항균성 등을 나타내는 기능성 패브릭 제품으로 요약됨.
③ 인조 가죽
엄밀히 소재나 가공법이 다르므로 인조가죽은 합성피혁과 구분되나 천연가죽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상적으로 혼용되고 있으며 외관은 천연가죽과 유사하나 사용에 따라 마모, 표면 이탈 및 부서짐 현상이 나타나며 복원력과 내구성이 떨어짐
④ 천연 가죽
천연 가죽 제품도 몇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가죽의 사용 부위에 따라 통가죽, 면피 가죽, 내 피 가죽으로 나뉘며, 가공 방법에 따라 NAPPA, NUBUCK(이상의 두 제품은 가죽의 결점 커버가 안되어 고급의 원물을 사용하므로 고가 라인 형성), SUEDE, SPLIT, SHRUNKEN, PAKSKIN(국내 개발 가공법), 기타 등으로 분류되며 원물의 유래에 따라 양피, 우피, 돈피, 염소피 등으로 분류 가능
※ 천연 vs 인조 가죽 구별 팁
쿠션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눌려진 부분의 주위에서 생성되는 주름의 패턴이 일정하면 인조가죽, 일정하지 않으면 천연가죽일 가능성이 높음.
※ 천연 가죽 제품 중 고가/저가 제품 구별
방석 부위나 등판 부위에 무늬가 많은 것, 즉, 여러 조각을 봉재로 이어 붙인 형태의 디자인 제품보다 절개선이 없는 한 판으로 이루어진 제품이 원가가 높은 좋은 제품.
기능별
① 무기능
그야말로 모든 부분이 고정되어 있는 아무런 기능이 없는 단순한 소파.
② 리클라이닝
먼저, 목부분에만 수동 각도 조절 기능이 적용된 제품과 종아리 받침대가 올라오면서 시트 전체가 뒤로 젖혀지는 전동식 리클라이닝 기능이 적용된 제품이 있으며 시트와 별도로 등판 쪽만 전동 리클라이닝 기능이 들어간 제품도 출시되어 있음.
③ 냉온 기능
주로 유럽식 소파에 적용되어 있는 기능으로 1톤 화물차 중간 시트를 앞으로 폴딩 하면 컵홀더와 작은 물건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이와 같이 시트 하나를 접으면 1톤 화물차에서 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여기에 스테인리스 컵홀더에 냉온 보온 기능이 들어간 소파.
2. 지혜로운 소파 선택 방법
1) 가용 예산 확인
비슷한 디자인이나 소재,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라도 다양한 가격대에 형성되어 있고 가격대가 다르다는 것은 품질에 있어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예산을 분명히 정하는 것이 선택의 어려움을 줄여 줄 수 있음. 가용 예산 대비 약 90% 정도의 제품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
2) 소파를 놓을 공간의 크기를 확인
우리 속담에 ‘누울 자릴 보고 다리를 뻗으라’는 말이 있듯이, 시장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고, 디자인이나 구성에 따라 크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먼저 공간의 크기를 확정해야 소파 설치 시 다른 가구들의 배치를 바꾸는 등 부가적인 수고를 덜 수 있음.
3) 원하는 기능 확정
위에서 언급한 것을 참고하여 리클라이닝 정도를 검토하여 기능을 정하므로 다양한 소재 및 기능으로 인해 천차만별인 가격대의 소파 선택의 폭을 좁히는 것이 용이함.
4) 소재 선정
소재별 특성을 잘 파악하고 원하는 소재를 정해서 소파를 알아보면 최종 발주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음. 그리고 소재에 따라 소파 구성 내용에 100% 같은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선택한 소재의 적용 범위에 따라 가격도 달라지므로 소재 적용 범위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
5) 매장 방문 및 실사
매장 방문 및 실사는 꼭 필요한 절차로 소파 발주 전 반드시 시행할 것을 권하는데, 하루 중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곳이고, 또 오랫동안 사용할 것이기에 직접 앉아 보고 가장 편안하게 느껴지는 디자인 내지는 스타일을 찾는 것이 중요.
6) 예산 및 구매 제품 최종 확정
실사 후 가용 예산을 재점검하고 원하는 소파를 발주하면 되는데, 가급적이면 처음에 세운 예산의 범위 내에서 구입하는 것이 좋으며 예산의 조정이 필요하다면, 티 테이블이나 러그 등 추가로 구매해야 할 부수적인 제품들도 고려하여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예산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
이상입니다.